파우스투스의 화폐 교환으로 커런시를 버는 방법을 소개드립니다.
골드가 많이 필요하니 골드 여유가 있으신분만 추천드립니다.
파밍의 목적이 아닌 거래에 따른 환손실을 방어할 수 있는 팁입니다.
이 글을 통해 환손실에 따른 손해가 없으시길 바랍니다.
블로그에 엑자일 관련 정보들을 개제하고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1. 원리
쉐이퍼의 엑잘티드 오브를 예시로 보여드리겠습니다.
현재 쉐이퍼의 엑잘티드 오브 판매가는 59카오스입니다.
구매가는 68카오스 입니다. 시세가 약 10%정도나 차이가 납니다.
만약 제가 60카오스에 구매하겠다고 하면 어떻게 표시될까요?
쉐이퍼의 엑잘티드 오브를 개당 60카에 구매하겠다고 주문을 넣었습니다.
이는 시장 비율보다 훨씬 저렴한 수치입니다. 그러나 판매하는 입장은 시장 비율이 60:1로 보입니다.
가장 비싼 값을 불렀으므로 시장 비율은 제가 넣은 주문이 되었습니다.
이때 누군가 쉐이퍼의 엑잘티드 오브를 60카에 판매한다면 거래가 성사됩니다.
구매가 66.5카오스가 아닌 60카오스에 쉐이퍼의 엑잘티드 오브를 구매할 수 있었습니다.
시장 최저가로 다시 67카오스에 쉐이퍼의 엑잘티드 오브를 판매합니다. 시장 비율보다 택도 없이 비싼 수치입니다.
주문을 넣고 캡처를 하기도 전에 주문이 성사되었습니다. 가장 비싼 값으로 불렀으니까요.
저는 120카오스에 구매하고 134카오스에 판매했습니다.
6,350 골드를 소모해 딸깍만으로 저는 14카오스를 벌었습니다.
규모의 논리를 적용하면 약 6만 골드는 140카오스, 60만 골드는 1400카오스를 벌 수 있습니다.
소모하는 골드에 비해 수익은 너무 적죠. 그래서 이 방법으로 커런시를 버는건 비효율적입니다.
2. 현상의 원인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은 시장 비율이 독립적이기 때문입니다.
화폐 교환은 서로 주문이 일치해야 체결되는 주식시스템과 비슷합니다.
그러나 문제가 있다면 구매자와 판매자의 시장 비율이 서로 독립적으로 표시됩니다.
그래서 판매자가 제시한 교환비는 구매자한테만, 구매자가 제시한 교환비는 판매자에게만 표시됩니다.
이 글을 작성하는 이유는 화폐를 교환하는데 환손실이 날 수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함입니다.
특히 빈도가 적은 거래일수록 환율 차이가 큽니다.
본인이 쉐이퍼의 엑잘티드 오브를 파밍하고 있고,
환율대로 교환을 했다면 계속해서 환손실이 10%씩 누적되는 겁니다.
만약 파우스투스를 활용하고 있는 파밍을 하고 계시다면 한번쯤 환율체크를 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추천 포스트
[POE1 3.26] 시간당 100만 골드! - 기습런 리뷰
판당 약 10만 골드, 시간당 100만 골드를 버는 기습런입니다. 커런시보다는 골드를 캐기 위한 파밍이며 1시간 파밍으로 4일간 킹스마치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해외 유튜브의 골드 파밍법 기습런을
aierse-life.tistory.com
[POE1] 필수 환경 설정
패스 오브 엑자일을 플레이하는데 팅기신적 있으신가요?자주 팅기지 않게하는 설정, 눈의 피로감을 덜어주는 설정, 파밍 효율을 높여주는 설정들을 소개합니다.인벤토리를 열지 않고도 포탈 주
aierse-life.tistory.com
'엑자일 매커니즘 > 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E1] 인내 충전 획득 방법 총정리 (0) | 2025.07.14 |
---|---|
[POE1] 격분 충전 획득 방법 총정리 (0) | 2025.07.13 |
[POE1] 권능 충전 획득 방법 총정리 (0) | 2025.07.12 |
[POE1] 튕김현상 해결하는 환경설정 (1) | 2025.07.08 |